레저 나노 S(Ledger Nano S)에서 이더리움을 거래하셨다면 최근에 ETH 주소가 달라진 것, 발견하셨나요? 렛저 라이브(Ledger Live)가 HD derivation 경로(주소파생경로)를 다른 방식으로 채택하면서 생긴 현상(큰 문제 아님)인데요. 아래에 해당되는 분은 이 글을 잘 읽어주세요.
- ① 레저 라이브(Ledger Live)에서 이더리움 입금 주소를 생성하고 입금을 했다. 그런데 마이이더월렛(MEW)으로는 입금한 잔고가 확인되지 않는다.
- ② 레저 라이브의 입금주소와, MEW의 주소 목록 중 첫번째 입금주소를 비교해보면 일치하지않는다.
- ③ 레저 라이브에서 이더리움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는데, 계정이 두 개가 확인된다.
- ④ 레저 라이브에서 이더리움 입금 주소를 확인해보니 내가 알던 이더리움 주소가 아니다. 낯선 주소가 표시된다.
위 내용 중에 하나라도 해당사항이 있나요? 그럼 왜 이렇게 됐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 아 이건 내 자산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아니니 천천히 같이 알아봅시당.
이더리움 주소 파생 경로가 바뀌었다니, 이게 무슨 말일까요? 레저 라이브 출시이후, ‘이더리움 및 이더리움클래식’에 있어서 레저는 BIP44 표준을 따르게 되었습니다. 렛저 나노가 주소 파생 경로로 BIP44를 채택한 이유는 프라이버시면에서 더욱 안전하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렛저 크롬앱 및 MEW 에서 사용하던 HD derivation path : m/44’/60’/0′
☞ 렛저라이브에서 새로이 채택한 HD derivation path : m/44’/60’/0’/0
더 자세히 말해보자면 계층결정성지갑(Hierarchical Deterministic Wallet, HD Wallet)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해야합니다. HD지갑에는 SEED(시드)라는게 있습니다. 우리가 렛저 월렛을 초기 설정할 때 기록했던 24개 니모닉 단어(=24개 복구용 단어)가 SEED라고 보시면 돼요. 이 씨드로부터 파생한 마스터키, 자식키, 손자키 … 계속해서 하위 key(주소)를 생성해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주소를 생성해내는 방식을 BIP44표준으로 바꿨다는 의미인데, 기술적인 내용은 너무 어려우니 여기까지만 알아보는걸로 🙂
>계층결정성지갑(Hierarchical Deterministic Wallet, HD Wallet) 과 관련된 글 더 읽어보기
아무튼 BIP44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좀 더 복잡한 키 생성이 가능하게 했고 내 거래내역이 쉽게 노출되지않도록 했다는게 핵심이죠. 레저 라이브는 새로운 파생 경로를 선택했지만, 기존의 이더리움 계정도 감지할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기존 주소를 쓸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중요한건, ‘원하면 계속 기존 주소를 써도 되고, 굳이 예전 계정 주소와 새 계정, 주소를 통합하거나 하는 과정은 필요없다.‘ 라는 것입니다.
달라진 이더리움 주소, 마이이더월렛(MEW)에서 파생 경로 선택
① 레저 라이브(Ledger Live)에서 이더리움 입금 주소를 생성하고 입금을 했다.
그런데 마이이더월렛(MEW)으로는 입금한 잔고가 확인되지 않는다.
② 레저 라이브의 입금주소와, MEW의 주소 목록 중 첫번째 입금주소를 비교해보면 일치하지않는다.
위 두 경우 요점은 레저 라이브와 MEW의 주소가 다르게 나온다는건데요. 이런 상황이 생긴 이유는 이번에 업데이트된 ‘파생경로’와 지금까지 블로그에 레저나노 MEW연동방법, 사용방법을 검색했을 때 클릭하라는 ‘파생경로’가 차이가 있어서입니다.
①번의 경우, 레저 라이브에서의 BIP44방식이 적용된 m/44’/60’/0’/0 으로 파생된 주소를 보고 그 주소로 입금했는데, MEW에 가서는 기존 경로 m/44’/60’/0’으로 주소를 조회했기 때문입니다. 좌측 상단에 있는 m/44’/60’/0’/0 을 선택하면 레저라이브에서 본 주소와, 입금된 자산을 확인할 수 있을거에요. ②번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MEW에서 기존의 것이 아닌 새로운 파생 경로 m/44’/60’/0’/0’을 선택하면 됩니다.
기존에 거래 내역이 있거나 잔고가 있는 분들
③ 레저 라이브에서 이더리움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는데, 계정이 두 개가 확인된다. ethereum1 (legacy)와 ethereum1.
④ 레저 라이브에서 이더리움 입금 주소를 확인해보니 내가 알던 이더리움 주소가 아니다. 낯선 주소가 표시된다.
③번과 같은 문제는 기존 ETH 주소에 ‘거래 내역 및 잔액’이 있는 사용자라서 그래요.
레저 라이브 출시 이전부터 이더리움을 거래한 분들은, 레저 라이브에서 ETH 포트폴리오를 추가했을 때, 기존의 계정이 Ethereum(legacy)로 표시될 수 있어요. (간혹 거래내역없는 분들도 나타난다고함) 새로운 계정 주소는 그냥 Ethereum1이고요. ③번은 그래서 기존의 것과 새로운 주소가 두 개 다 나타나는 것이고, ④번은 렛저 라이브의 새로운 파생 경로에 따른 이더리움 주소가 로드된거죠. 그래서 어? 이건 내가 크롬앱환경때부터 쓰던주소가 아닌데. 내가 알던 주소가 아닌데?하는..
자 그럼 이 legacy의 의미는 무엇이고 뒤에 legacy라는 단어가 붙는 이유는 뭘까요.

레저라이브에서 이더리움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면, 기존 주소(계정)는 Legacy로 나타난다.
Legacy(레거시) 의미
영어사전에서 legacy를 찾아보면 ‘과거의 것, 유산’라고 나옵니다. 좀 더 코인 생태계적으로 의미에 맞게 풀어보자면, ‘새로운 방식, 기술을 부각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legacy는 새로운것이 적용되지않은 구식의 어떤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Ethereum(legacy)라고 표시되는건, 예전의 크롬 앱에서 사용하던 주소 생성 방법(구식)이라는 뜻이에요. legacy라고 표시함으로써 ‘레저 라이브의 새로운 파생 경로가 아닌 계정‘이라는 의미를 부각시킬수 있죠. legacy라고 붙은 이 이름은 레저라이브에서 변경할 수 있으니까 바꾸고싶으면 변경해도 좋아요. 저는 ‘킵코잉 이더리움(기존)’이라고 변경했어요.
결론 : 어느 파생경로를 선택해야하는가?
레거시(기존) 주소를 쓰고싶다면, 레거시에서 계정을 만들면 됩니다. 마이이더월렛과 연결해서 파생 경로 두 가지 다 클릭해보면, 내 계정주소들을 발견/파악하는데 도움이 될거에요. 우리에게 의미있는 건, 위에서 언급했듯, 굳이 예전의 계정과, 새로 표시되는 계정을 ‘통합’할 필요는 없다는 거, 주소가 바뀌었지만 내 이더리움 및 토큰, 이더리움 클래식 자산은 안전하다는 것! 입니다. 그리고 어느 파생경로를 선택하든 내가 원하는 걸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는 점입니다. 다른 궁금한 부분이 있으면 댓글이나 카카오톡으로 알려주세요. 🙂
마이이더월렛과 레저 s 연동 문제입니다.
1.4.2버전으로 업데이트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토큰을 넣기 위해서 MEW 연동이 안되네요.
설정문제인 것 같아서 contract date yes, display data yes. 로 진행 했는데 그래도 커넥팅이 안되요.
MEW 사용 브라우저가 크롬이 아니라서 그런걸까요?? (이상하게 크롬에서는 안열리더라고요
안녕하세요. 혹시 아무런 오류메세지도 안뜨는 상황인가요?
마이이더월렛과 레저나노 s를 잘 연동해서 사용해왔습니다.
그런데 펌웨어 업데이트 후 연동이 안되네요.
에러코드 5라고 자꾸 뜨는데 컨트렉트 데이타 에서 디스플레이 데이터 yes로 해도 안되고 너무 답답합니다.
안녕하세요 나석태님, 카카오톡으로 문의주셔서 대신 응답드렸습니다 🙂 꼭 해결되길 바라요!
안녕하세요 문의사항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edg를 나노지갑에 보관하기 위해 mew와 연동하고 거래소–>나노 s 이더리움 주소로 보냈습니다. 혹시 나노 s 이더리움 주소가 아닌 mew에서 연동된 다섯 개 주소 중 하나로 보내야 하는 거였나용?
ㅠㅠ
안녕하세요 김상현님 엣지리스를 나노렛저로 이동하려고 하셨군요.
제대로 잘 하신 것 맞습니다 🙂
엣지리스는 ERC20토큰이니, 이더리움주소로 입금하는 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add account할때 Etherium1(legacy)를 선택하는 것이 안뜹니다. 왜 그럴까요?
legacy 에 입금한 적이 없으면 legacy가 안보일거에요.
레거시에 18년 ico한 코인이 있어요. ledger live업데이트할때 reset된후 24문구로 복원한후 이더리움 레거시 경로가 안보여요. 도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