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지갑에서 BIP39와 BIP44 의미
계정과 주소를 생성하기 위해서 BIP44를 구현하고, 복구 단어(니모닉 단어)를 생성하는 BIP39를 구현해요. 프로그램적, 코딩적인 부분은 복잡한 함수도 들어가있고 우리가 다루기엔 너무 어려우니까 포스팅하지는 않을거에요. 지갑을 다루다보면 자주 마주치는 ‘BIP39’와 ‘BIP44’니까요....
계정과 주소를 생성하기 위해서 BIP44를 구현하고, 복구 단어(니모닉 단어)를 생성하는 BIP39를 구현해요. 프로그램적, 코딩적인 부분은 복잡한 함수도 들어가있고 우리가 다루기엔 너무 어려우니까 포스팅하지는 않을거에요. 지갑을 다루다보면 자주 마주치는 ‘BIP39’와 ‘BIP44’니까요....
EOS 메인넷 전 이더리움지갑에 EOS를 보관한 적이 있었나요? KEOS 토큰(케이오스토큰)을 에어드랍받았는지 이더리움 지갑에 확인해보세요. 2018년 5월 31일 오후 1시 EOS 토큰 100개 이상 보유자를 대상으로 EOS 토큰 스냅샷 진행이 되었기때문에, 5월...
ERC20 계열 간 오입금 실수로 코인을 잘못입금하는 경우는 생각보다 꽤 자주 일어납니다. 특히 거래소로 코인을 보낼 때 자주 일어납니다. 업비트 제로엑스 입금주소로 입금해야하는데, 실수로 메모장에 적어둔 업비트 이더리움 입금 주소로...
프라이빗키를 어떻게 보관하느냐에 따라 나뉘는 ‘핫월렛’과 ‘콜드월렛(=콜드스토리지)’ 이 개념은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할 부분입니다. 핫월렛이란 개인키(프라이빗키)를 온라인에 연결해서 입력하고 코인에 접근하는 방식을 핫월렛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지갑이 핫월렛에...
유시민의 말을 떠올려보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085936 블록체인자체는 거래 참여자 과반수가 보유한 장부를 동시에 변조/해킹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킹으로부터 안전하다고 말한다. 전체 거래 50% 이상을 동시에 해킹해야만 해킹할 수...
읽기 쉽도록 중앙화 거래소는 빨간색으로, 탈중앙화 거래소는 파란색으로 표현하겠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등은 Centralized exchange(중앙화거래소)라고 합니다. 반대의 개념인 탈중앙화 거래소는 Decentralized exchange, 약어로 간단히 DEX라고 말합니다. DEX와는 어떤...
콜드스토리지(콜드월렛)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지갑의 개인키(private key)를 생성 및 저장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콜드스토리지의 사례로는종이지갑과 하드웨어 월렛 등이 있죠. 그 중 하드월렛, 시중에 나와있는 제품들에 대해서 포스팅해볼게요. 렛저 나노 S (Ledger Nano S)...